프로젝트를 해오면서 항상 건축적 이데올로기에 괴로워하고 창작의 고통에 시달렸다. 작품이냐 상품이냐 기로에 서기도 했고, 미학이냐 전략이냐의 잣대에서 논쟁하였고, 또한 자본의 유혹에도 수없이 빠져 보았다.
그런 과정을 거쳐 모서리를 치고 깎고 물에 적셔 나만의 건축관, 건축 개념을 만들어 왔다. 진정한 고민이 없으면 새로움도 없다는 생각에 쉼 없이 사유해 왔다.
다시 건축을 바라보고 있다. 건축에 대한 원초적인 자문, 건축의 존재감, 디자인을 결정하는 동기, 건축을 통한 자아실현, 건축주의 경제적 이익과 효과, 사회에 끼치는 영향 등을 다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진다. 어쩌면 그전과 사용하는 단어와 내용은 같을지 모른다. 분명한 것은 나 자신이 달라져 있음은 확연하다.
내 작품을 구현한다는 생각보다는, 의뢰인과 같이 만들어 가는 것이 건축이자, 우리의 도시일 것이다. 그것이 비록 앞뒤가 안 맞고 일그러진 얼굴이라도 어쩔 수 없고, 조금 도드라져 보이는 건축이 탄생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것이다.
지금까지 건축할 때마다 치열하게 고민했고, 잘 만들려 했고, 또 의뢰인이 원하는 것을 최대한 만족하게 하려 노력했으며, 적어도 질 낮은 타협은 하지 않는 건축가의 삶을 살아왔다고 자부한다. 그렇기에 작품이다 아니라는 기준보다는 적어도 잘 만들고 있느냐는 질문이 나에게는 더 적합한 잣대가 될 것이다.
건축을 한지 30여년이 훌쩍 넘어 기성 건축가로서 인생의 제2분기를 살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여 년을 돌아보며 회고하고 있다. 건축가로서 나름대로 한 쪽 귀퉁이에 조그마한 건축은 쌓아왔다. 그것도 보통 경험할 수 있는 과정을 거친 건축은 아니라고 자부한다.
'최선의 건축'이라고 불러본다.